[뉴스초점] 정부, 러시아 제재 동참…FDPR 예외 적용 협상 '총력'<br /><br /><br />러시아를 향한 세계 각국의 경제 제재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와 발맞춰 대러시아 금융 제재에 동참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정부는 미국이 실시하는 해외직접생산품규칙, FDPR 적용 예외를 인정받기 위해 미국과 집중 협상에 나설 방침인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, 박정호 명지대학교 특임교수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서방 국가는 대러시아 제재에 속도를 내는 강대강 대결이 이어지는 가운데, 미국의 해외직접제품규제, FDPR 적용 예외 대상에 한국이 포함 안 되며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정부가 빠르게 미국과 집중 협상에 나서겠다 밝혔는데 현재 상황,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정부는 국제사회의 대러 금융제재 동참에 속도를 내며 러시아 주요은행과의 거래를 중지하는 등 세부 후속조치를 발표했는데 주요국과 비교하면 어느정도 수준인가요? 혹시 우려되는 점은 없나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지난달 무역수지가 역대 2월 중 최고치를 기록하며 석 달 만에 흑자로 돌아섰습니다. 고유가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라는 대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좋은 실적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세계 각국의 대러시아 제재가 강화되고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증시 영향도 확대되는 모습입니다. 미국 뉴욕증시도 하락세를 보이며 마감했는데 코스피 반응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3월에도 증시의 변동성은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'꽃샘추위'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 악재들의 영향력이 점차 옅어질 수 있다는 건데 어떻게 보시나요? 증시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꼽아주신다면요?<br /><br /> 국제유가와 금값은 다시 급등하고 있습니다. 특히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,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하며 국제에너지기구에서 급히 비축유를 풀기로 했는데 유가가 안정될 수 있을까요? 월가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걱정도 내비치는데 우려해야 하는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대한민국 벤처 1세대였던 김정주 넥슨 창업자가 지난달 말 미국 하와이에서 별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. 게임업계에서 애도 메시지가 잇따르고 있는데 어떤 인물이었나요?<br /><br /> 넥슨의 향후 행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지난해 전문 경영인 체제를 도입한만큼 경영전략에는 큰 변화가 없을 수 있지만 대주주 지분과 투자 방향에는 빈자리가 드러날 거란 예상도 나와요?<br /><br />#러시아_제재 #유가상승 #김정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